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3월 14일, 뉴욕증시가 소비심리 악화에도 불구하고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급락에 따른 저평가 인식이 확산되면서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지수 동향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1.65% (41,488.19)
    • 나스닥 종합지수: +2.61% (17,754.09)
    • S&P 500 지수: +2.13% (5,638.94)

    이는 지난 7일 이후 처음으로 3대 지수가 모두 상승한 것입니다. 특히 S&P 500 지수는 지난해 11월 미 대선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시장 상승 요인

    1. 저가 매수세 유입: 최근 급락으로 인한 저평가 인식 확산
    2.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 부재: 이날 관세 관련 추가 언급 없음
    3. 셧다운 우려 완화: 민주당의 임시 예산안 수용 의사 표명

    주목할 만한 업종 및 종목

    • 상승 업종: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기술장비, 에너지, 화학 등
    • 주요 기술주 상승: 엔비디아(+5.27%), 애플(+1.82%), 마이크로소프트(+2.58%), 아마존(+2.09%)
    •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등: 디 웨이브 퀀텀(+46.89%), 아이온큐(+16.99%), 리게티 컴퓨팅(+28.23%)

    주의할 점

    1. 주간 기준 하락세 지속: 다우지수 3% 이상 하락, S&P500 및 나스닥 2% 이상 하락
    2. 소비자심리 악화: 3월 소비자심리지수 57.9로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 기록3
    3. 인플레이션 우려: 1년 기대인플레이션 4.9%로 상승

    향후 전망

    전문가들은 미국 증시가 추가 약세를 보일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는 18~19일 열리는 FOMC 회의 결과에 따라 시장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뉴욕증시의 반등은 단기적인 저가 매수 기회로 작용했지만, 여전히 관세 정책과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